전체 글48 B2B Network Gateway를 위한 Base UX 대응하는 제품들이 다양해지면서 공통된 부분은 Base UX를 참고하고 각 제품별로 차이가 있는 부분만을 제품별 UX 문서에 기입할 필요성이 생겼다. 이를 위해서 B2B 제품(DOCSIS)을 위한 Base UX를 정의하고 Axure를 이용해서 온라인 UX문서 겸 Prototype을 만들어서 공유하였다. (프로토타입을 보기위해서는 비밀번호가 필요함) 2019. 9. 29. B2B Network Gateway NET, Charter, JCOM 등 주요 고객사의 요구 사항에 맞게 웹 UI 및 제품 전반에 걸친 UX를 기획하고 정의하였다. JCOM의 경우 차세대 웹 UX를 제안하여 제품에 반영하였다. NET는 고객사의 차세대 웹 UI인 NOVA를 개선하고, 미 정의된 부분을 정의하여 제품에 반영하였다. 2019. 9. 29. Retail CPE를 위한 Mobile 앱 Retail CPE와 연동하는 모바일 앱의 UX를 기획하고 이를 Axure로 프로토타이핑(#1, #2, #3)하였다. (프로토타입을 보기위해서는 비밀번호가 필요함) 2019. 9. 29. 光BOX+ NTT-WEST의 OTT Box(光BOX+)의 초기설정, 장치에 탑재되는 주요 앱(Media Player, Miracast 등)들의 UX 및 RCU를 정의하였다. 2019. 9. 29. Network Gateway를 위한 Base UX 개선 Network Gateway 업무를 담당하게 되면서 불편한 기존의 UX를 개선하자는 요구가 있었다. PC 전용이던 웹 UI를 모바일에도 대응이 되도록 반응형 웹으로 재정의하고 화면 구성 항목 및 페이지들의 구현이 웹접근성에 합치하도록 기본 규칙을 정의하였다. 또한 업무 관계자들의 이해가 쉽도록 Axure를 이용해서 Working Prototype을 만들어 공유하였다. (프로토타입을 보기위해서는 비밀번호가 필요함) 2019. 9. 29. STB에 대응하는 Mobile 앱 기존에 개발되어 있던 iPad, Android Tablet용 모바일 앱(아래 이미지 참조)의 UX를 개선하고 신규로 iPhone/Android Phone용 앱의 UX를 정의하였다. 기존의 Android Tablet용 앱은 고정 Pixel/단일 해상도로 개발이 되어 있어서 여러 해상도의 Tablet에 대응하기가 어려웠다. 때문에 여러 기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DP로 단위를 변경하고 적용하는 작업을 진행했다. 화면이 넓은 Tablet용이 먼저 만들어져있는 상태에서 Phone UX를 정의해야 했기에 어려움이 있었다. OS별, 디바이스(Phone, Tablet)별로 앱이 각각 존재해서 업데이트 및 마켓에서 관리가 어려웠기에 iOS용 앱을 Universal 앱으로 통합할 것을 제안했고, 결국 iOS앱은 Unive.. 2019. 9. 29. 이전 1 2 3 4 ··· 8 다음